Youtube/유튜브

유튜브 수익과 세금: 한국 거주자의 필수 가이드

귀차니즘 극복 2025. 3. 24. 19:06
728x90
반응형

유튜브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큰 관심사 중 하나는 바로 수익화와 세금 문제입니다. 유튜브에서 광고 수익을 창출하면 Google AdSense(구글 애드센스)를 통해 달러로 지급받게 되는데,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이 수익에 대해 미국과 한국에서 각각 세금을 어떻게 내야 하는지입니다.

특히,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은 개인이라면 세금 문제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또 세계 여러 나라에서 내 영상을 시청했을 경우 세금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궁금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유튜브 수익과 관련된 미국 세금, 한국 세금, 그리고 다국적 시청자의 영향을 고려한 과세 방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1. 유튜브 수익과 미국 세금 (원천징수)


유튜브는 미국 기업인 Google(구글)의 플랫폼입니다. 따라서 유튜브에서 발생하는 광고 수익은 미국 세법의 적용을 받게 됩니다.

1-1. 미국 세금 신고 (세금 정보 제출)

유튜브를 통한 수익을 받기 위해서는 구글 애드센스에서 세금 정보를 제출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W-8BEN이라는 세금 양식을 작성해야 하며, 이를 제출하지 않으면 미국에서 기본 30% 세율로 원천징수(세금이 미리 공제됨)됩니다.

하지만 **한국과 미국은 조세조약(Tax Treaty)**을 맺고 있어, 한국 거주자가 적절한 정보를 제출하면 원천징수 세율이 10%로 줄어듭니다.

✅ 미국 원천징수율

W-8BEN 제출 안 함 → 30% 원천징수

W-8BEN 제출 후 한국 거주자로 신고 → 10% 원천징수


즉, W-8BEN을 제출하면 미국에서 떼이는 세금을 크게 줄일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제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1-2. 원천징수 적용 대상 수익

그렇다면 모든 유튜브 수익에 대해 미국에서 세금을 떼는 걸까요? 그렇지는 않습니다.
미국에서 원천징수가 적용되는 수익은 **"미국 시청자로부터 발생한 광고 수익"**입니다.

✅ 미국 원천징수 대상

미국 시청자가 광고를 본 경우 발생한 수익

미국 시청자가 슈퍼챗(후원) 또는 유튜브 프리미엄을 통해 발생한 수익


즉, 미국 이외의 국가에서 발생한 수익에는 미국 세금이 부과되지 않습니다.
한국, 유럽, 아시아 등에서 발생한 수익은 미국 세금과 무관합니다.



2. 유튜브 수익과 한국 세금


유튜브 수익을 받는 한국 거주자는 한국 세법에 따라 세금을 신고해야 합니다.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은 개인이라면 다음과 같이 세금이 적용됩니다.

2-1. 종합소득세 신고

유튜브 수익은 한국에서는 기타소득 또는 사업소득으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 기타소득 vs 사업소득

기타소득 (연간 750만 원 이하일 경우 유리)

유튜브 수익이 일정하지 않고 부업 성격일 때

필요경비를 60% 공제 가능 (실제 경비 증빙 불필요)

750만 원 이하라면 분리과세(종합소득세 신고 안 해도 됨)


사업소득 (연간 750만 원 이상일 경우 유리할 수도 있음)

지속적인 활동으로 정기적인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사업자로 등록하여 세금 신고 (부가가치세 대상이 될 수도 있음)

필요경비를 실제 사용한 금액만큼 공제 가능



일반적으로 연간 수익이 750만 원 이하라면 기타소득으로 신고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그러나 수익이 많아지면 사업소득으로 전환하는 것이 더 합리적일 수 있습니다.

2-2. 세율 적용 방식

소득세는 구간별로 차등 과세되며, 종합소득세 신고 시 누진세율이 적용됩니다.

✅ 종합소득세율 (2025년 기준)

1,400만 원 이하: 6%

1,400만 원 ~ 5,000만 원: 15%

5,000만 원 ~ 8,800만 원: 24%

8,800만 원 ~ 1억 5,000만 원: 35%

1억 5,000만 원 초과: 38% ~ 45%


예를 들어, 연간 3,000만 원 수익을 올린다면 1,400만 원까지는 6%, 나머지 1,600만 원은 15% 세율이 적용됩니다.




3. 다양한 나라의 시청자가 볼 경우 세금은?


유튜브는 글로벌 플랫폼이므로 전 세계 시청자가 내 영상을 시청하고 광고를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국 거주자가 받을 유튜브 수익에 대해 다른 나라에서도 세금을 내야 할까요?

정답은 **"아니오"**입니다.

3-1. 원천징수는 미국 수익에만 적용

다른 국가에서 발생한 수익(예: 유럽, 아시아, 중동 등)에는 미국 세금이 적용되지 않습니다.
즉, 미국에서 발생한 수익만 원천징수되고, 나머지 국가에서 발생한 수익은 그대로 지급됩니다.

3-2. 한국에서만 소득세 신고

전 세계에서 유튜브 수익이 발생해도 한국 거주자는 한국에서만 소득세를 신고하면 됩니다.
이는 대부분의 국가가 거주지 과세 원칙을 따르기 때문입니다.




4. 유튜브 수익 세금 정리





유튜브 수익을 창출할 때 미국과 한국에서의 세금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미국 원천징수: 미국 시청자로부터 발생한 수익에 대해서만 원천징수(10% 또는 30%)


2. 한국 소득세 신고: 연 750만 원 이하라면 기타소득으로 분리과세 가능, 초과하면 종합소득세 신고


3. 전 세계 시청자 수익: 미국을 제외한 국가에서 발생한 수익은 한국에서만 신고




유튜브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수익이 증가하면, 세무사 상담을 통해 정확한 신고 방식을 선택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