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은 공유기에 유선으로 NAS를 물려 놓고, 그 공유기의 무선으로 모바일기기나 노트북으로 사용하시는 환경을 가정하고 설명하였습니다. (동일 네트워크)
재부팅이 발생하면서 변경되면 다시 찾아서 설정해주고,
기존에 PC나 모바일앱에 세팅된 아이피들을 다 변경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니 미리 고정 IP로 할당하고 사요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 먼저 바탕화면에 있는 "제어판"을 클릭해서 진입합니다.
2. 아래 제어판 메뉴 중 "네트워크"를 클릭해서 진입합니다.

3. 네트워크 화면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탭을 클릭합니다.
- DHCP 사용 : 예
- IP 주소 : 192.168.219.107
>> 이 부분이 핵심입니다.
- DHCP로 설정되어 공유기나 NAS가 재부팅 될 경우 IP를 재할당 받게 되어,
기존 모바일에 설정해 놓은 접속정보나, 기존 즐겨찾기로 설정해놓은 IP들이 달라져서 접속이 어려워 집니다.
- "편집" 버튼을 눌러 편집으로 들어갑니다.

4. "수동 구성 이용" 으로 설정해 줍니다.
- 편집 창으로 들어가면 먼저 "자동으로 네트워크 구성 얻기(DHCP)"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하단에 있는 "수동 구성 이용"으로 변경을 해 줍니다.
- 아래에 복잡한 숫자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내용으로 자동으로 채워져 있으니 신경 안쓰셔도 됩니다.
보통 저기 IP 마지막 숫자를 1로 설정하시면 공유기 Admin 서비스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e.g. 192.168.219.1)
- "확인" 버튼을 눌러 세팅을 완료합니다.

5. 설정완료된 내역을 확인합니다.
"DHCP 예 → 아니요" 로 바뀐 내역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6. 위에 설정한 IP로 제대로 접속 되는지 확인한다.
"http://설정된IP:5000" 으로 접속해서 서비스가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기본적으로 시놀로지 DSM서비스는 5000포트로 서비스가 떠있습니다.

이제 NAS나 공유기를 재부팅해도 변경없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IT > NA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놀로지 캘린더 설치 및 추가 (0) | 2020.04.13 |
---|---|
시놀로지 비디오스테이션 사용하기 (Synology Video Station) (0) | 2020.04.01 |
네트워크가 끊어져 동영상을 볼 수 없는 경우 (DLNA, NAS, Synology) (0) | 2020.03.29 |
시놀로지 NAS DS118 메모장 기능인 노트스테이션 설치 (Note Station) (0) | 2020.03.21 |
시놀로지 NAS DS118 찾을 수 없습니다. 문제해결 방법 (0) | 2020.03.21 |